투자/부동산

전세가율 의미와 활용 방법 - 집주인과 세입자의 심리를 알 수 있는 부동산 지표

eben 2022. 5. 1.
반응형

[출처 : 카카오페이 블로그]


안녕하세요, 에벤입니다.

오늘은 전세가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에는 다른 나라에서는 보기 힘든 특이한 주거 방식이 존재하는데요, 바로 전세입니다.

 

한국에만 있는 전세…조선때부터 지금까지 생존 가능했던 이유는?

우리나라의 한국의 전세 제도는 한국의 주택 공급 상황과 금융 환경 등이 낳은 세계적으로 희귀한 제도로 꼽힌다. 집주인에게는 목돈 마련의 기회를 주는 사금융 역할을 했고 세입자에게…

www.donga.com


동아일보의 경우, "우리나라의 한국의 전세 제도는 주택 공급상황과 금융 환경 등이 낳은 세계적으로 희귀한 제도로 꼽힌다. 집주인에게는 묵돈 마련의 기회를 주는 사금융 역할을 했고, 세입자에게는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주를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왔다."라고 표현할 정도로 전세는 세계적으로 희귀한 제도이지요.


그렇기에 한국에서 부동산 투자를 하기 위해선 전세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전세가와 매매가 사이의 관계를 자세히 살펴보면 세입자와 집주인의 심리를 어느정도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오늘은 부동산 관련 투자자 및 실수요자들의 심리를 엿볼 수 있는 경제지표인 전세와 매매 가격 사이의 관계, '전세가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세가율의 의미

[출처 : 헤럴드경제]


우선 전세가율이란 '매매가 대비 전세가의 비율'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매매가 8억원의 집 전세가율이 80%다'라는 말은 '이 집의 전세가 6억 4천만원이다'는 말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죠.


굉장히 단순한 개념임에도 '전세가율'이라는 단어로 정의되고 실제 부동산 투자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부동산 투자에의 활용방법


'전세가율은' 단순히 매매가 대비 전세가격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해한다면 본 지표의 의미를 반만 이해하고 있는 겁니다.

아래는 전세가율과 투자 사이에 관계를 설명해주고 있는 3가지 룰입니다.
[출처 : BOODING, 부동산 전문 뉴스레터]


1)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은 실수요층이 탄탄하고 집값 하락 위험이 적다

= 비싼 전세금을 주고서라도 살고 싶은 곳이 전세가율도 높다


2) 다만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은 집값 상승 여력도 낮다

= 비싼 전세금을 주고 거주하는 게 매수하는 것보다 낫다


3) 전세가율이 70% 이상이면 전세 수요가 매매 수요로 돌아선다.

※ 과거엔 '전세가율 60%' 법칙이 통용됐습니다.


물론 이러한 모든 룰이 모든 지역과 시간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정도의 그라운드 룰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세 가지 룰 때문에 수많은 부동산 투자자들은 관심 지역의 전세가율을 항상 눈여겨 보고 있는데요.

 

서울 전세가율 49%로 '뚝'…세입자 '전전긍긍'

서울 전세가율 49%로 '뚝'…세입자 '전전긍긍', 서울 집값 올라 정세가율 '뚝' 임대차 3법 '5%인상 제한' 여파 아파트값 올라도 전세는 못 올려 8월 계약갱신청구권 2년 만료 억눌린 가격, 급등할까 '

www.hankyung.com


최근에는 서울 전세가율이 떨어지고 있어 매매가와 전세가 차이의 갭을 매꾸기 어려워 내집마련이 어렵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출처 : 한국경제 집코노미]


오늘은 전세가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관심 지역의 전세가율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시어 시장 흐름을 읽으시는데 도움을 얻으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모두 성공적인 부동산 투자 되세요 :)


참고자료

부딩 - 부동산 전문 뉴스레터

 

부딩 BOODING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게 가장 큰 리스크다! 밀레니얼을 위한 부동산 뉴스레터

www.booding.co

한국에만 있는 전세…조선때부터 지금까지 생존 가능했던 이유는?

 

한국에만 있는 전세…조선때부터 지금까지 생존 가능했던 이유는?

우리나라의 한국의 전세 제도는 한국의 주택 공급 상황과 금융 환경 등이 낳은 세계적으로 희귀한 제도로 꼽힌다. 집주인에게는 목돈 마련의 기회를 주는 사금융 역할을 했고 세입자에게…

www.donga.com

반응형

댓글